-
-
- 교육원소식
-
홈 > 게시판 > 교육원소식
-
• 제 목 행안부 재난안전점검단 협의 내용 (국가안전대진단 기술자 협의) • 작성자 관리자 • 작성일 2019-09-30 오후 3:06:01 • 조회수 503 • 첨부파일1 행안부 회의사진.jpg • 첨부파일2 • 첨부파일3 ‘20년 대진단 관련 전문가 단체 회의자료
□ 국가안전대진단 추진 배경
○ 세월호 사고 이후 모든 안전관리 주체가 참여하여 주요 시설물에 대한
안전점검 및 안전관리 실태 개선을 위한 국가안전대진단 도입(‘15년)
※ 매년 2~4월 중 집중기간을 설정하여 안전점검, 안전신고, 캠페인 등 전개
○ 사회 전반의 안전관리실태를 진단하여 위험요인을 발굴·개선함으로써 재난 및
사고 예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
생활 속 위험요소 개선에 대한 국민 참여 확대 및 안전문화 확산
※ 지난 5년간 242만여 개소 점검(현지시정 7만, 보수·보강 9만5천 개소 등)
○ 국가안전대진단 실행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개선방안 마련·시행
특히, ‘19년의 경우 점검대상 시설 전체를 민관합동점검으로 실시
□ ‘19년 국가안전대진단 추진 결과
○ 점검실적 : 총 161,588개소(당초 개획 142,236개소보다 19,352개소 증가)
○ 참여 연인원 : 275,482명(공무원 130,648명, 민간전문가 79,683명, 공사·공단
직원 40,273명, 안전단체 회원 24,878명)
* 전년 대비 민간전문가 참여 비율 14.3%p 증가 : 14.6%(‘18년)→28.9%(’19년)
○ 주요 조치사항 : 현장 시정(9,218개소), 보수·보강(15,319개소), 정밀안전진단(190개소)
행정처분(과태료, 작업중지·영업정지, 시정명령 등 2,263개소)
보수·보강 대상 15,319개소 중 13,083개소(85.4%)는 올해 말까지 개선
정밀안전진단 대상 190개소 중 130개소(68%)는 올해 말까지 추진
○ 점검 결과 공개 : 148,743개소(92.1%)
○ 자율안전점검 : 점검표 보급(가정용 725만부, 다중이용업소용 60만부), 캠페인 등
□ ‘20년 국가안전대진단 주요 개선 내용
○ ‘20년 대진단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핵심시설 위주로 축소(10만개 수준)하고
소규모 민간시설은 상시점검 대상으로 전환
○ ‘20년 국가안전대진단 관련 절차를 조기에(전년 대비 2~3개월) 추진
○ 관계 부처 및 전문가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민간전문가 풀 확대
* (‘19년) 772명의 민간전문가 풀 확보·공유 → (’20년) 2,000명 수준으로 확대
○ 자율 안전점검 및 결과 게시 운동을 다중이용업 전체로 확대 시행
* (‘19년) 목욕장, 고시원 등 8개 업종(16만 개소) → (’20년) 다중이용업 전체
(27게 업종, 112만 개소)
○ 국가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을 통한 점검결과 등 안전정보의 체계적 이력관리 및
대국민 공개 추진
* 시설물 정보 및 안전점검 결과 통합 공개
□ ‘20년 국가안전대진단 관련 협조 요청 사항
○ 국가안전대진단 시 협회·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참여 요청
지자체에서 점검인력 지원 요청 시 가용한 범위 내에서 적극적으로 협조 할 수
있도록 각 지회에 안내 협조
*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 조사결과(한국엔지니어링협회 공표)에 따른 임금수준에
따라 수당 지급토록 자치단체 협조 요청(9.23)
○ 부처 및 지자체 공유를 위한 인력 풀 제공 협조
퇴직자 및 회원 등 인력 풀에 대하여 해당 지자체에만 정보를 공유 예정, 지자체
에서 해당 전문가에게 참여 요청토록 조치
○ 지자체와 지회 간 협업을 통해 민간시설 보수·보강 관련 지역 업체 및 적정 단가 등
관련 정보 제공 협조
○ 자율안전점검 및 결과 게시 실천운동 관련 단체별 회원을 통한 홍보 및 업무추진 시
관계인에게 홍보 협조
□ 추가 논의사항
○ 국가안전대진단 시 민간전문가 단체와의 업무 협력 강화 방안으로 우리 시설물관리지도사를 국가안전대진단 기술자로 등록하기 위하여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.
이에 시설물관리지도사님들게 보고 드립니다.
꼭 등록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다음글 2020년 상반기 사업보고 이전글 (긴급공지) 하남,구미지역 태풍 링링 대비 현장출동 지도사님을 신청 받습니다
-